10월이 지난지 벌써 6일이나 지났어요. 이 포스트를 할로윈 전에 꼭 써야지라고 마음먹었는데 너무나 바쁜 10월이어서 이제서야 올립니다. 저희 집은 10월이 일년 중 가장 바빠요. 가족들의 생일들이 모여있기도 하고, 아이들 원 행사도 이 달에 몰려 있어서 그래요. 그중에서도 아이들 마음을 설레게 하는 건 할로윈입니다. 다른나라 전통에 왜 난리냐라는 비판적인 시각도 있지만요, 멋진 코스튬과 무서운 괴물 이야기, 달콤한 Treat or Trick 장난은 아이들에게 분명 매력적인 놀이인 건 맞는 것 같습니다.

지난해에도 할로윈 모임이 두 번 있었어요. 하루는 키즈카페를 빌려 친구들과 파티를 했고 하루는 저희 집에서 할로윈 분위기로 꾸며 파티를 했죠. 의상은 2만원선에서 아이가 원하는 드레스를 인터넷으로 사줬어요. 머리띠와 요술봉까지 한 세트인 멋진 마녀 복장인데 가격까지 저렴하니 참 만족 스러웠죠. 하지만 이 의상은 말그대로 코스튬인걸요. 두 날 외에, 집에서 공주 놀이할 때를 제외하곤 거의 입지 않아요. 소재는 폴리에스터 100%입니다.

 

10월이 다가오면서 큰 아이는 본능적으로 할로윈의 달이 다가왔다는 걸 알고는 요즘 푹 빠져 있는 애니메이션 <리나는 뱀파이어>의 리나가 되고 싶다 했죠. 구글링을 해봐도 국내에는 리나 의상이 없어요. 해외직구로 구매할 수 있으나 대부분 폴리에스터 100%의 코스튬뿐입니다. 그래서 엄마는 딸에게 '만들어줄게'라는 약속을 하고 말았죠... 머릿속에서만은 의상이 뚝딱하고 나왔으니까요. 

10월 첫날부터 엄청난 구글링을 하기 시작합니다. 그 사이 처음 찜해놓은 면 재질의 무지 핫핑크 반팔티는 계절이 바뀌어 절판됐죠. 특히 원피스는 마음에 드는 것 찾기가 너무 어려웠어요. 리나는 반팔을 입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겨울이 곧 올 것처럼 추웠거든요. 마음 같아서는 천 사다가 재단해 만들어주고 싶으나 아직 제 미싱 솜씨가 그정도까지는 아니어서 답답했죠. 그러다가 자주 들르는 아동복사이트에 신상품이 올라왔는데 심플한 검정 원피스였어요. 소재는 코튼 60%, 폴리 40%. 한참 망설였지만 그동안의 구글링이 너무나 힘들었던 탓에 타협하고 말았습니다.

절판된 핫핑크 분홍 면 반팔티가 눈에 아른거리는 중에, 마침 들른 유니클로에서 5천원에 세일하는 가오리형태의 분홍티를 찾았어요. 아이의 요구대로 뱀파이어의 푸른 피부를 상징하는 푸른색 히트택도 구매했죠. 하지만 집에 돌아와 소재를 확인해보니 폴리에스터, 레이온, 폴리우레탄의 조합이네요. 기능성 옷들일수록 가격은 더 비싸면서 소재는 왜 죄다 플라스틱일까요. 가격이 합리적인 면 소재 옷 찾는 게 이렇게 힘든 줄 몰랐어요.

대신 집에서 만드는 소품들은 플라스틱 소재가 아닌 걸로 해주자 마음먹었죠. 먼저 원피스에 넣는 거미줄 모양은 면사로 재봉틀 작업해 완성했구요. 제 오랜 검은색 면 나시티를 잘라 목걸이를 만들고 오래된 머리띠의 살에 면과 울이 혼용된 실로 박쥐 모양 머리띠를 만들었죠. 박쥐 틀을 고정시키기 위해 낡은 끈에 포함된 철사를 이용했어요. 머리띠의 분홍 머리끈 부분은 면으로 된 자수실을 여러개 겹쳐 코바느질했습니다. 리나의 파란 장갑은 면사로 된 어린이용 목장갑을 사서 손가락 부분을 자르고 손바느질하여 만들었구요. 그 외 바지와 양말, 부츠는 기존 아이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용했어요.

완성하면 요런 모습이 됩니다. 삐뚤빼뚤 솜씨가 부끄럽지만,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리나는 뱀파이어> 의상이 만들어졌습니다.

딸 아이는 이 옷을 입고 서울랜드 할로윈 페스티벌을 누볐고, 두 번의 친구들과의 할로윈 파티도 참석했죠. 그리고 할머니 생신날 가족 모임에서도, 동생 어린이집 체육대회에서도, 그냥 일주일에 한 번씩 유치원 갈 때도 입고 가요.

 

100% 친환경소재로 할로윈 코스튬을 만드는 것은 비록 실패했지만, 한번 버리고 말 코스튬이 아닌 생활복을 만들어 쓰레기를 줄이고, 머리띠나 목걸이 등 소품은 기존 낡은 것들을 재사용해 자원을 아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도 딸 아이가 만족하고 좋아하해주니 그것만큼 보람있는 것은 또 없네요.

지난해와 달리 올해 할로윈 행사를 치루며 느끼는 풍경은 사뭇 달랐어요. 제 친구들도 몇 번의 할로윈을 치루면서 할로윈 때문에 구매하는 코스튬이 너무 약하고 불편하고 실용성이 낮다는 데 공감하고 있었어요. 제 친구들은 이왕 사는 옷, 일상에서도 병행해 입을 수 있는 디자인으로 꼼꼼히 따지더라구요. 활동성이 좋고 내구성이 좋은 걸로. 그리고 지난해 코스튬을 잘 활용해 다른 느낌의 의상으로 재사용하기도 하구요.

아래는 그런 친구들 중 하나가 아이를 위해 만들어 준 마녀 빗자루에요. 검정색 티셔츠로 마대 자루를 감고 여러 셔츠를 길게 잘라 빗자루처럼 묶었는데 한쪽의 별 포인트까지 낡은 옷으로 모양냈어요. 이렇게 멋진 마녀 지팡이 보신 적 있나요? 이 친구가 손재주가 뛰어나긴한데, 마트 매대에서 몇 천원에 살 수 있는 플라스틱 빗자루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고급스럽고 멋진 할로윈 소품이었어요. 사진에는 없지만 이 친구의 아이는 검정색 마녀 복장을 하고 왔는데, 기존 검정색 밸리 의상을 이용해 기성복으로 멋진 마녀 복장을 완성했더라구요.

할로윈 전통이 유행처럼 번지면서 10월이 되면 정말 많은 폴리에스터 코스튬들이 온라인, 오프라인에 쏟아집니다. 한번 입고 버린다고 생각하니 플라스틱 섬유 쓰레기양이 만만치 않습니다. 지구를 위해 옷을 현명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1. 좋은 소재의 옷을 구매하고 2. 오래 아껴 입고 3. 쓰레기를 최소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솜씨 없는 저도 조금이나마 실천하기 위해 코스튬을 만들어보는 시도를 했어요. 이미 지난 할로윈이지만 내년엔 함께 플라스틱 코스튬 쓰레기를 최소화하는 데 동참해보는 건 어떨까요?



눈에 보이지 않을정도로 작은 미세플라스틱 이야기를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겁니다. 보통 5mm보다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미세플라스틱이라고 부르는데, 빙하에서도, 해안에서도, 바다에서도, 심지어 우리가 마시는 물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들으셨을 겁니다. 한 추산에 따르면 북극얼음이 향후 10년 동안 녹으면 1조 개가 넘는 플라스틱 조각이 물속으로 방출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와이주 빅아일랜드섬의 일부 해변의 경우 모래의 15%가 사실상 미세플라스틱 알로 이뤄졌다는 조사도 있구요. 우리가 마시는 생수나 수돗물에서도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발견됐다는 보도도 수시로 나오고 있죠. 아직까지는 이 미세플라스틱을 먹는다고 인체에 어떠한 해가 있는 지는 뚜렷하게 밝혀진 바 없습니다. 다행히도 미세플라스틱 대부분이 물고기의 내장에만 남고 우리가 먹는 근육 조직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과학자들이 우려하는 이유는 플라스틱은 어디에나 있는 데다 결국에는 1m의 1000억 분의 1 크기밖에 되지 않아 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나노플라스틱으로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나노 단위의 플라스틱은 조직과 장기로도 침투할 수 있다고 보고 있죠.[각주:1]

바다로 흘러들어간 일회용 빨대, 생수병 등의 플라스틱들은 햇빛과 파도, 박테리아에 의해 파편화되면서 미세플라스틱화됩니다. 인간의 필요에 의해 일부러 작은 조각으로 만든 플라스틱 입자들은 여과 과정도 거치지 않고 바다로 방출되구요. 치약, 화장품에 들어간 스크럽 입자들이 그런 것이죠.  

또 하나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 주범은 바로 우리가 입는 옷입니다. 세탁을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아무리 미세먼지가 심하다 하더라도 매번 세탁기 여과망에 걸러지는 세탁 먼지들이 참 많습니다. 그 중 상당량은 섬유 자체에서 나옵니다. 세탁을 하면서 발생한 미세섬유들이 먼지화된 것이죠. 

패스트패션(Fast Fashion)이 유행하면서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섬유로 만들어진 옷의 양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폴리에스테르는 생산되는 모든 섬유의 6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제조하는 과정에서 화석연료를 훨씬 많이 쓰기 때문에, 면 섬유와 비교할 때 거의 세 배에 달하는 탄소를 배출시킵니다. 플라스틱 섬유이기 때문에 썩지 않고, 세탁 과정에서 작은 미세섬유로 잘게 쪼개져 하수처리에 다 걸러지지 못한 채 바다로 도달하게 되죠. 바다로 간 미세섬유는 살충제, 화학물질 등 주변의 다른 오염물질을 빨아들인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바다생물들의 배속으로 들어가고 결국 우리 식탁에 오르는 것이죠. 미세플라스틱의 피해를 물리적인 이유 뿐만이 아니라 화학적인 이유에서도 찾는 것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출처 : The Story of Stuff Project /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대나무 섬유, 옥수수 섬유 등 천연섬유처럼 들리는 이러한 섬유들은 대부분 레이온(Rayon)이란 재생섬유입니다. 레이온은 소재가 천연일지라도 그걸 조합해 섬유로 만드는 과정에서 많은 공해를 발생시킵니다. 본래 섬유로 적당하지 않은 소재인데 섬유화하면서 화학처리를 많이 하기 때문이죠. 몇년전부터 유행하고 있는 인견소재도 대표적인 레이온 섬유인데요. 고가인 실크의 촉감을 구현하기 위해 개발된 재생섬유로 목재, 펄프의 섬유소를 재생시켜 만든 섬유죠. 레이온으로 인한 공해 사례는 '원진레이온 사태'가 대표적입니다. 1991년에 사회문제화 된 이 이슈는 설립 초기부터 마지막까지 기기에서 발생한 불순물인 이황화탄소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직원 대부분이 황화수소 가스에 중독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직업병으로 인한 사망자가 8명, 장애판정 직원이 637명이나 발생했는데, 실제 사망자와 재해자는 이보다 훨씬 많다고 알려지고 있죠. 이 사건 이후 국내에서는 레이온 공장이 대부분 문을 닫았다고 합니다. 지금의 인견 원사는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는데, 중국에서도 원진레이온 사태에 버금가는 사고들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하네요. 레이온 소재도 세탁 과정에서 작은 미세섬유가 떨어져 나갑니다. 이 또한 공정 과정에서 투입된 화학물질을 가지고 바다로 간다고 합니다.[각주:2]

그래서 섬유의 미세플라스틱과 공해를 우려하는 사람들은 천연소재의 옷을 적게 사서 오래 입기를 권장합니다. 상대적으로 천연소재는 플라스틱 소재나 레이온보다 고가인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공정하고 투명한 과정에서 성실하게 지어진 옷은 우리 몸에도 좋고 환경에도 좋죠. 호주의 기후변화 위기에 대처하는 여성 모임인 1million women은 6가지 섬유를 추천합니다.

1. 유기농 면(Olganic Cotton) : 유기농면은 대량생산되는 면과 달리 표백제와 같은 화학약품을 적게 사용하고 공정과정이 짧기 때문에 물도 적게 사용합니다. 

2. 린넨(Linen) : 아마에서 추출한 섬유로 이 식물은 버려지는 것이 거의 없는데, 아마씨 오일 등을 부가적으로 생산해 낼 수 있다고 합니다.

3. 텐슬(Tencel) : 유칼리투스 나무로 만드는데, 이 섬유도 생산 과정에서 버려지는 쓰레기가 상대적으로 적다고 합니다.

4. 실크(Silk) : 자연의 색으로 염색된 실크는 몸에도, 환경에도 좋습니다. 대량 생산에 의한 나방 대량 살생 등 동물학대가 우려된다면 "아힘사 실크(ahimsa silk)"를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5. 마(Hemp) : 자라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물과 땅을 소비한다고 합니다.

6. 울(Wool) : 자연섬유 가운데 향균성이 좋고 보온성이 뛰어난 섬유지요.

출처 : 1millions women(www.1millionwomen.com.au)

옷이 미세플라스틱의 주범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난 뒤, 그 후에 구매하는 옷은 소재를 꼼꼼하게 따지게 됐어요. 예전부터 울 소재는 가장 선호하는 소재였는데, 제가 과거에 구매한 울 소재 옷들을 살펴보니 많은 경우 레이온이나 폴리에스테르 혼방이었어요. 당장 이 모든 옷을 버리는 것은 올바른 해법은 아닙니다. 사용하지 않는 옷은 쓰레기일 뿐이니까요. 앞으로는 더 깐깐하게 옷을 구매해야겠다는 다짐과 함께 천연소재로 적게 사서 오래 입겠다고 마음먹었어요.  

다행히 올해 여름엔 린넨 소재가 유행입니다. 환경도 함께 생각하면서 올 여름엔 린넨 소재로 시원한 여름 보내세요~ :)


참고글


  1. 참고 : 내셔널지오그래픽 6월호 [본문으로]
  2. 참고 : 나무위키 '원진레이온 사태' [본문으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