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사용'과 '재활용'. 친숙하면서도 자주 혼동되어 사용하는 단어이기도 합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의 경우 '재활용'에 대해서는 정의가 있으나 '재사용'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재사용'과 '재활용'을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하지요. '재활용'의 의미에 대해 두 개 사전 모두 "용도를 바꾼다"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출처 : (파랑글씨)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검정글씨) 고려대힌국어대사전
사전적 정의를 바탕으로 '재사용'과 '재활용'의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재사용'은 기본적으로 이미 사용한 물건을 다시 사용한다는 뜻입니다. 본래의 의도와 용도에 맞게 사용되는 것을 '재사용'이라고 하죠. '재활용'은 용도나 손질을 가해 다른 형태로 이용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가장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경우는 유리병일 것입니다. 유리병을 소매점이나 마트의 무인회수함에 넣으면 이 병들은 본래 모양 그대로 세척과 살균과정을 거쳐 본래의 의도대로 매장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반면 같은 유리병이라하더라도 분리수거함에 넣어진 병은 파쇄 과정을 거쳐 본래의 유리병과 다른 용도의 것으로 재탄생됩니다.
분리수거의 목적은 우리가 사용하는 것들이 매립·소각의 방법으로 사라지기 전에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분리수거'와 '재활용'은 뗄래야뗄 수 없는 관계죠. '재사용'은 빈병 회수와 같이 제도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분리수거 단계 전에 이루어집니다. 대표적인 것이 중고장터일 것입니다. 내가 구매한 물건이 더 이상 필요없을 때 버리지 않고 타인의 이용을 유도하는 것 이것이 바로 재사용이지요. 반면, 아파트 분리수거장에 함께 놓인 헌옷수거함은 '재활용'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이 수거함에 넣은 의류들은 선별과정을 거쳐 수출되거나 고물상에 팔리죠. 그래서 헌옷수거함에는 입지 못할 것들은 넣을 수 없습니다. 구멍난 셔츠, 짝이 안맞는 신발 등은 넣으면 안돼요.
티셔츠의 '재활용' 방법은 오히려 가정에서 더 많이 이루어집니다. 셔츠의 소매부분을 잘라 팔토시를 만든다던가, 제가 예를 들었던 셔츠 재활용 엽서를 만들거나 바느질로 빈티지 가방을 만들 수 있죠. 코바늘에 관심 있는 분들은 천을 길게 자르고 늘어뜨려 패브릭얀을 만들기도 합니다. 이 과정이 모두 '재활용'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커피전문점에서 사서 마신 일회용 플라스틱 투명컵을 화분으로 사용한다면 이것은 '재사용'일까요, '재활용'일까요. 본래의 용도인 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재활용'이라고 말할 수도 있고, 본래 컵이라는 것이 물이든 어떤 것이든 담는 용도이니 '재사용'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헷갈리는 경우가 생겨 '재사용'과 '재활용'을 구분하는 또다른 기준이 필요하다고 보는데, 기준 중 하나로 셀 수 있느냐(numerable)를 들 수 있습니다. '재사용'은 한 번 이상 여러번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죠. 수거되는 빈 병의 경우 우리나라는 평균 8번 정도 '재사용'된다고 합니다. 내 아이의 유모차는 중고로 팔고 물려주고를 반복해 4번 정도 '재사용'됐습니다. 빈티지 가게의 어떤 제품들은 수백년을 건너뛰어 현재도 '재사용'되고 있죠. 반면 '재활용'은 단회성입니다. 본래의 용도가 사라진채 다른 물건으로 재탄생되기 때문이지요.
그렇다면 다시 커피컵으로 돌아가 화분으로 사용된 커피컵은 '재사용'일까요, '재활용'일까요. 바닥에 구멍을 뚫어 그 전 용도인 물을 담는 컵의 기능을 상실한 화분이 되었다면 '재활용'이 맞습니다. 반면 화분으로 변신한 커피컵에 상추를 심었고 매 봄이 올 때마다 그 컵에 새로 상추를 심었다면 이는 컵을 화분으로 두 번 '재사용'한 셈이 되겠죠. 종이박스도 마찬가지입니다. 신발 담은 종이박스를 처음에는 아이 장난감 넣는 상자로, 다음에는 아이 미술작품을 넣는 상자로 이용했다면 이것은 2번 더 '재사용'한 셈입니다. 반면 이를 개조해 아이의 인형 침대를 만들었다면 '재활용'이 되겠죠. 그리고 종이박스 그대로든 인형 침대로 변한 종이박스든 분리수거장에 내놓은 이 것은 종이라는 자원으로써 '재활용'될 것입니다.
결국에 이러한 제품과 포장재를 가장 이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최대한 재사용하고 제대로 재활용하는 것일 겁니다. 제품의 수명은 유한하기에, 그 수명이 다할 때까지 반복하여 '재사용'한 후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할 때 '재활용'을 하는 것. 이를 통해 유한했던 제품의 수명은 효율적이게 길어지는 거겠죠.
셔츠 재활용 엽서에 대한 포스트를 쓰다가 '재사용'과 '재활용'의 의미 차이에 대해 고민이 돼 정리해보았습니다.
'#No More Plastic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플라스틱(Micro Plastic)과 섬유 (0) | 2018.06.11 |
---|---|
세계 환경의 날 (0) | 2018.06.05 |
플라스틱 이슈에서 소비자란. (0) | 2018.05.04 |
플라스틱(Plastic)에 대해 알아봅니다. (2) | 2018.04.24 |
지구의 날(Earth Day) (0) | 2018.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