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More Plastic : Challenge/고쳐쓰는 날 2

2024.1.14. 리페어데이

네 개의 옷을 수선했어요. 남편과 작은 아이의 구멍난 옷을 꼬매고, 매 양말과 옷을 고쳤죠. 큰 아이의 무릎 양말 작아진 게 두개 생겼어요. 양말목 공예를 좀 배우면서 생각난건데, 양말목 대신 진짜 양말로 공예를 해보면 어떨까해 잘라봤어요. 한 양말에서 나올 수 있는 고리 수가 제한적이고 무늬가 있는 것은 양말 뒤쪽이 지저분해 못 쓰겠더라구요. 그래도 색상별로 고리를 만들어 묶어두었습니다. 큰 아이의 반타이즈 2개와 헤진 내 양말 하나가 사용됐습니다. 양말의 발 부분은 오랜 때가 지워지지 않아 그 부분만 따로 모았어요. 창틀 청소할 때 한번 더 쓰고 버리려구요. 2024년의 첫 리페어데이였습니다.

리페어 데이(Repair Day)를 만들어봐요.

몇 개월 지났지만 기억에 남는 책이 였어요. 표지에는 "쓰고 버리는 시대, 잃어버린 것들을 회복하는 삶"이라고 적혀있죠. 그 책이 주는 깨달음 중 하나는 우리 시대가 버리기에 너무나 익숙해졌다는 자각과 소비 만능 시대에서 고쳐쓰기가 오히려 마이너가 되었다는 거였어요. 얼마 전 지인에게 들었던 얘기인데, 몇 년 전 우산 고쳐쓰기가 캠페인처럼 확산되었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 시작은 나이 많으신 우산 고치시는 할아버지로부터 파급된 거였는데 꽤 많은 사람들이 우산 고치는 교육을 들었음에도 그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이후 명맥이 끊겼다 하더라고요. 그만큼 세상은 고치는 문화에 익숙지 않고 지속하기 어려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최근에야 서울시를 비롯해 조금씩 리페어 컬처에 대한 관심이 생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 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