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More Plastic : Story 20

수입맥주 뒷면에서 읽는 세계 환경 정책

캔 맥주의 분리배출은 명확하게 '캔류로 분리배출'입니다. 우리나라의 캔류 분리배출 비율은 80%로 매우 높은 편인데, 실제 알루미늄캔 재활용 비율은 30% 미만이라고 합니다.(출처 : 머니투데이 2020.5.25. 기사) 오랜만에 마신 맥주 "파울라너 뮌히너 헬"의 뒷면 정보란을 우연하게 보게 됐습니다. 독일 뮌헨 지역에서 제조되어 유럽과 호주, 우리나라 등 세계 각지로 수출되기에, 이 제품의 뒷면에는 다양한 국가들의 필수 정보들이 총 망나되어 인쇄되어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수입맥주를 마실 때 한 번쯤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이 표시는 무엇인지, 이 나라는 왜 이런 라벨을 사용하는 지... 오늘은 제가 마신 "파울라너 뮌히너 헬" 뒷면 정보를 통해 다양한 나라의 픽토그램 정보와 환경 정책 내용을 살펴보겠습..

친환경 타이벡 에코백은 정말 친환경일까?

6월 5일은 세계 환경의 날이죠. 올해는 코로나-19 이슈가 있어 규모가 축소된 것 같지만 많은 기업들이 행사를 준비했습니다. 저 또한 전단지에서 본 행사 하나가 눈에 띄어 참여했죠.PP소재 용기 5점 이상을 기부하면 플라스틱 화분을 만드는 데 사용하고, 기부 참여 리워드로 친환경 타이벡 소재 에코백을 준다는 것이었어요. 에코백이면 에코백이지 "친환경 타이벡 소재"라고 하니 호기심이 생겼고, 마침 모아 둔 플레이도우 통들이 PP 재질이라 가지고 갔어요. (여담이지만, 모아둔 약통도 PP소재라 같이 챙겨갔는데 이건 용기가 아니라는 이유로 퇴짜 맞았답니다. ㅜㅜ) 리워드로 받은 "친환경 타이벡 소재 에코백"은 아래와 같았어요. 알고보니 2019년 이니스프리에서 주관한 행사에서 제공받았던 에코백과 같은 소재였..

플라스틱 튜브 치약의 대안은?

솔직히 털어놓건데 저는 아직도 플라스틱 칫솔을 사용하고 있고, 플라스틱 튜브에 담긴 치약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제로웨이스트가 되고자 노력하기 전 저렴하다고 쟁여놓은 것들이 남아있었기도 하고, 치약같은 경우 명절마다 선물로 들어오는 것들을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지요.그렇다고 계속 플라스틱 칫솔과 치약을 사용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칫솔은 지금 쟁여두었던 것들을 모두 사용하고 나면 대나무 칫솔로 바꿀 것입니다. 칫솔의 경우 칫솔대에 대해서는 고민할 여지가 없으나 구매 시점이 되면 칫솔모에 대해서는 좀 더 진지하게 고민할 생각입니다. 치약에 대해서도 고민이 많습니다. 한달에 한번 꼴로 발생하는 치약 플라스틱 튜브 쓰레기를 바라보며 한달에 한번 또 플라스틱 쓰레기를 만들었구나 후..

플라스틱 섬유 샤워볼 대신 천연섬유(소창, 삼베) 샤워볼 만드는 방법!

지난 글 주방엔 천연 수세미, 욕실엔 천연 스펀지. 에서는 목욕 시 사용하는 타올이나 샤워볼 모두 플라스틱 섬유로 만들어졌고 습식 환경인 우리나라 욕실에서는 자주 새 것으로 갈아줘야 세균 번식 등을 막을 수 있다 언급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활용되지 않는 샤워볼이나 타올은 썩지 않는 쓰레기가 된다고 말씀드렸죠. 당시 저는 아이들에게는 천연 스펀지인 해면 스펀지를 사용하도록 했고 저는 코바늘로 뜬 면사 샤워볼을 사용했어요. 천연 해면 스펀지는 말이 필요 없을 정도로 바람직한 샤워볼 대체품이죠. 거품이 잘 나고 잘 마르기 때문에 정말 잘 사용하고 있어요.반면 코바늘 샤워볼, 샤워타올은 불편한 점이 많았어요. 실이다보니 물과 비누를 많이 흡수하고 거품이 생각만큼 잘 나지 않고 결정적으로 마르는 시간이 오래 ..

플라스틱 없는 진짜 친환경 코바늘 수세미 만드는 방법

지난 포스트 "친환경 아크릴수세미는 정말로 친환경일까?(바로가기)"에서 아크릴 또는 폴리에스터 실로 만든 수세미는 미세 플라스틱 섬유를 발생 시키고 바다로 흘러들어가 바다생물의 화학적 오염까지 일으킨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또한 그 대안으로 본래의 수세미로 돌아가는 것과 면, 마와 같은 천연 소재 실로 수세미를 뜨자고 말씀드렸죠.이 포스트와 함께 제가 처음으로 뜬 면사 수세미를 보여드렸고, 그 이후에도 계속 이 면사 수세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려했던 것과 달리 세정력도 좋고 거품도 잘 날 뿐더러, 삶아 쓸 수 있어 위생적이라는 점에서 나날이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시어머님, 친정엄마, 주변 지인들에게도 면사 코바늘 수세미를 선물로 드리고 있는데 지금까지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입니다. 면사가..

펌프식 페트병 분리배출 방법

여러분은 어떤 용기의 샴푸를 사용하시나요? 저희 집은 핸드워시도 샴푸도 클렌징오일도 모두 펌프식을 사용하고 있어요. 한 번 쓸 용량만 적당히 나오고 용기를 흔들어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등 장점이 많아서 선호했죠. 분리배출할 때도 용기의 분리배출표시를 보고 정확히 배출했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어요. O.M.G. 이러한 펌프식 용기의 경우 재활용 가능성을 현저히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분리배출 방법을 바꾸게 되었고, 더 나아가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찾게 되었어요.오늘은 다 쓴 펌프식 샴푸병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볼게요. 아래 왼쪽이 이번에 분리배출해야 할 펌프식 용기에요. 이 날 샴푸와 컨디셔너 모두 다 사용해서 분리해보았는데, 두 개 모두 구조는 똑같고 잘 나온 이미지를 선별해..

플라스틱 어택(Plastic Attack)@서울 함께해요!

정부는 지난 4월 26일 이마트 등 5개 대형마트와 MOU를 체결하고 '1회용 비닐쇼핑백, 과대포장 없는 점포' 만들기에 함께 노력하기로 협의했습니다. 이 협약을 통해 비닐롤백 사용량을 줄이고, 이중포장을 개선하고 재활용이 불가능한 코팅·유색 트레이(회접시 등)를 줄여나가겠다고 밝혔죠. 그로부터 약 2개월이 지난 지금, 여러분들은 대형마트의 변화를 체감하고 계십니까?대형마트에서 한 달에 최소 두번 쇼핑하고, 어느새 채소를 구매할 때의 기준이 비닐포장이냐 아니냐가 된 제 입장에서 볼 때, 이러한 협의의 실천이 더디게 진행되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한 번은 비닐포장이 안 된 야채를 하나도 찾을 수 없던 적도 있었고, 속비닐 대신 제가 가져온 재사용봉투 대신 비닐롤백 사용을 권장하는 판매원도 만난 적도 있습..

종이팩은 주민센터에서 화장지로 교환하세요!

아이 있는 집이라면 냉장고에 필수로 구비해 놓는 것 중 하나가 우유죠. 저희 집도 일주일에 두 아이가 1리터정도 마시고 그외 두유나 주스도 우유팩 재질로 된 음료를 구비해놓습니다. 제 경우, 같은 음료일 경우 플라스틱 포장보다는 종이팩 제품을 선호하는 편인데요, 그 이유는 잘만 배출한다면 이 종이팩이 일반 플라스틱 음료통보다 재활용이 잘 되기 때문입니다.종이팩이란?우리가 일반적으로 종이팩, 우유팩, 두유팩, 테트라팩 등으로 부르는 이 포장의 정식 이름은 카톤팩(Carton Pack)입니다. 카톤팩은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내지가 은색의 알루미늄 처리로 된 것은 아셉틱 카톤팩(Aseptic Carton)이라 따로 불립니다. 카톤팩(Gable Top Carton)은 일반적으로 우유포장에 가장 많이 쓰이는 지..

친환경 아크릴수세미는 정말로 친환경일까?

코바늘뜨기를 취미로 하는 많은 사람들이 수세미뜨기로 처음 코바늘뜨기에 입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많은 분들이 수세미뜨기만 취미로 하기도 하구요. 저 또한 제가 직접 만들지는 않았지만 주변 분들이 취미로 만든 수세미를 선물로 받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어느날 설거지를 하다가 문든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알록달록하고 심지어 반짝이기까지 한 이 실로 만든 이 수세미가 정말 '친환경'일까? 아크릴 수세미에서 가끔씩 떨어지는 섬유 조각들은 이렇게 하수구로 흘러들어가도 되는 걸까?우리가 알고 있는 수세미실, 행주실은 대부분 폴리에스터 100% 또는 아크릴 100%입니다. 대부분의 판매자가 '친환경 수세미실'이란 타이틀을 걸고 이 실을 팔지요. 그들이 말하는 친환경적인 이유는 강력한 흡수력과 탈수력, 반영구..

천연세탁세제 만들기

무언가 소비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포장이 플라스틱인가 아닌가가 되어버린 생활입니다. 빨리 모든 생활을 non plastic으로 바꿔버리고 싶은 마음은 항상 있지만, 그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는 걸 잘 알기에 꼼꼼이 따져보고 천천히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어요. 우선 무언가를 구매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 어떻게 대체할 방법이 있는 지 머리를 굴리고 정보를 찾아보죠. 그러다보면 제가 찾는 대안이 플라스틱일 때가 많아요. 차이점은 플라스틱을 구매한다가 아니라 집에 있는 플라스틱을 재사용한다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주방도, 욕실도, 세탁실도 변화가 눈에 확 띄는 건 아닙니다.얼마 전부터 제가 사용하고 있는 세탁세제가 바닥을 드러내기 시작했어요. 저희 가족은 넬리 또는 토니네추럴을 필요 시점의 가격사정에 ..

반응형